마이한반도
장종권 작품세계

시집

제1시집
제2시집
제3시집
제4시집
제5시집
제6시집
제7시집
제8시집
제9시집
제6시집

歷史는 歷事이다/2012년 가을/리토피아

페이지 정보

profile_image
작성자 장종권
댓글 0건 조회 4,638회 작성일 10-06-21 10:46

본문

歷史는 歷事이다
 
 
당이 백제와 고구려를 무너뜨리는 데 협조하면 한강 이남의 땅에 대한 통치권을 신라가 갖는다. 애당초 고구려의 방대한 땅은 그들에게 남의 땅이었다. 신라가 살아남는 길은 백제, 고구려 유민들에게 동일 민족정신을 심어주는 일이었다. 이전과 이후가 달랐으니 발해쯤이야 남의 땅으로 묻어도 그만이었다. 최후의 승자가 백제이길 기도하다가 이단을 만나고, 최후의 승자가 고구려이길 꿈꾸다가 가위에 눌린다. 역사는 천세 만세 후에도 징그러운 귀신이다. 제 논에 물 대는 것이 농부들의 마음이다. 굶어죽어도 종자씨는 베개 삼아 죽으니 그들을 착하다 했다. 그들은 너무 착해서 죽어 호박꽃이 되었다. 집안일은 집안에서 해결하라는 가르침이 없었다. 형제는 싸워도 링 밖을 벗어나면 안 되는 일, 칼잡이 총잡이 불러봐야 집 뺏기기 십상이다. 역사의 얼굴은 당대 그리는 자의 몫이고, 감상은 후대 읽는 자의 몫이다. 제아무리 춘추필법이어도 피는 물보다 진하고 팔은 안으로 굽는다. 역사는 歷史가 아니고 歷事이다. 역사는 기록으로 남는 것마다 재미있는 이야기이며, 그 이야기는 앞으로도 재미있게 계속될 것이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